반응형

 

 

안녕하세요. 빅분기 실기 독학을 위해 준비를 해야할 것이 바로  개발환경 준비하기 입니다.

 

파이썬을 이용하여 시험을 보시는 분들을 위해 2가지 방법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두가지 방법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내 컴퓨터에 설치하시겠어요?  구글 계정으로 설치없이 쓰시겠어요?

 

각 방법의 장단점으로는

컴퓨터에 설치를 하면, 인터넷없이 사용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컴퓨터 사양이 낮은 경우.. 컴퓨터가 느려진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구글 계정으로 파이썬 사용하는 경우

구글계정만 있으면 어떤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존에 작업하던 코드를 어디서든 볼 수 있음)

단점으로는 항상 인터넷이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두가지 방법을 안내해드릴테니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 컴퓨터에 파이썬 개발환경 설치하기

https://wikidocs.net/254150

 

2장. 파이썬 개발 환경

다음은 이 장에서 배우게 될 내용이다. 2.1 파이썬 설치 2.2 파이썬 가상환경 2.3 Anaconda 설치 2.4 Jupyter Notebook 사용 이 장을 통해 파이썬…

wikidocs.net

 

2. 구글 colab 이용하기

https://wikidocs.net/141502

 

01. 구글 코랩 (colab)

[TOC] # 구글 코랩 (colab) 소개 그럼 이제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분석을 시작해볼까요!? 데이터를 분석하는 툴은 그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프로그래밍을 기반으…

wikidocs.net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를 준비하기 전

 

어떤 시험인지, 응시료는 얼마인지 등 정리를 하는 시간이 필요할것 같다고 생각해서 이 글을 작성합니다.

 

 

 

 

 

일정

25년도 빅분기 일정입니다. 필기 2회, 실기 2회가 진행됩니다.

필기를 합격하고 2년 이내에 실기를 따지 않으면...

필기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처음부터 필기를 다시 준비해야하는 불상사가 일어납니다...!!

 

저는 24년상반기에 필기를 땄기 때문에 올해 안에 빅분기 실기를 따기 위해 10회차를 도전하고,,

혹시 떨어지게 된다면 11회차 필기도 준비하려 합니다.

사실 작년에 실기 한번 봤는데 너무 낮은 점수를 받아서 이번에는 부디 10회차에 붙기를...ㅎㅎ

 

 

 

아직 원서접수도 시작 안했지만,, 이렇게 일찍 시작한 이유는

6월에 정보보안기사 필기를 병행하기 위함입니다!

 

하나는 파이썬 실기 / 하나는 이론위주의 시험이기 떄문에 병행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것은

굉장한 착각일수도 있지만... 직장인으로서  보안기사를 따기는 따야하는 상황이라 

 

 

합격 컷

아래 내용처럼 실기는 과락 없이 100점 만점에 60점만 맞으면 됩니다.

 

교재

교재는 작년에 샀던 24년 이기적 빅분기 실기 python 입니다.

현재는 절판이 되어 구매가 불가하지만,, 구버전임에도 내용은 비슷할거라 생각하고.. 이책으로 공부하려 합니다.

사실 책이 없어도 공부하는데 지장은 없지만.. 

 

 

 

공부법

1. 기본기 잡기

먼저 유튜브에 올라가 있는 2시간에 완성하는 빅분기 실기 강의를 1회독 하면서 

어떤 시험인지 감을 잡으려 합니다.

유튜브 최신 무료 인강

실제시험환경 체험하기 

 

2. 그리고 나서 개념을 한번 보려고 합니다.

평일에는 출퇴근 길에 유튜브를 통해 개념을 익히고, 회사에서 몰래몰래 실기 실습을 따라해보려 합니다.

 

이기적 무료인강 24년도 버전

1유형 문제풀이 강의

2유형 문제풀이 강의

3유형 문제풀이 강의

실습 링크 : 실기 실습은 아래 링크로 해볼까 합니다.

  - https://www.datamanim.com/dataset/99_pandas/pandasMain.html

 

광고가 너무 많아서, 정신은 없지만 무료이기에 감사할 따름 

구글 코랩에 옮겨 적으면서 실습해보려고 합니다!

 

 

3.  주말에는 모의고사를 1회차씩 풀어제낄 것입니다.

모의고사는 이기적 책에 총3회분이 있고, 그거 외에도 인터넷에서 좀 찾아보고 자료를 수집할 예정입니다.

 

모의고사 1회차

모의고사 2회차

 

 

 

다짐

빅분기 실기는 코드를 최대한 암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 합니다.

문제가 다 비슷하게 나오고, 필기처럼 이거 같은데?? 하면서 찍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코드를 스스로 칠 수 있을만큼 암기가 필요합니다.

 

진짜 이렇게 계획대로만 성실하게 한다면 실기를 딸수 있을거 같죠? ㅋㅋㅋ

아자아자 힘내봅시다

 

 

 

반응형
반응형


사전 점수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시험공부를 얼마 못해서 떨어질수도 있었겠다고 생각했는데
운이 좋게도 합격점수입니다.

맞는 것은? 틀린 것은? 에 따라 실수한 것은 없는지 마지막까지 확인했고

공부를 하지 않은 부분에서 출제된 문제는
상식적으로 틀린 보기들을 소거해나가며 풀어서

합격 점수를 얻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2025년 다음 자격증 후보로는 아래 리스트 중
2개~3개만 도전해볼 예정입니다.

1. ISRM (4월)
2. 정보보안기사필기 (5월)
3.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6월)
4. 정보보안필기 (7월)
5. SQLP (8월)
6. DAP (9월)
7. 공인중개사 1,2차 (10월)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월요일, 퇴근후 자격증 공부를 합니다.

 

과목1. 전사 아키텍처에 대해 공부할 예정

 

시작 전, 나의 목표는?

적은 시간 투자해서 최대 효율을 내자.

그러기 위해서는 키워드 위주로 빠르게 1회독을 한다!

 

 

전사?

회사 전체? 인 것 같다. 영어로는 Enterprise

 

아키텍처?

구조, 아마도 시스템 구조, 데이터 구조 등등을 의미하겠지. 영어로는 Architecture

 

오늘의 공부 끝...!!!! 이면 좋겠지만 아직 한참 남았다.

 

 

 

 

여기서 부터는 키워드 위주로 빠르게 스캔합니다.

 

전사 아키텍처란, 기업의 정보화 관련 설계도를 뜻한다. 약자로 EA

 

사실 스타트업이야 하나의 사업이 곧 회사 전체시스템이고 그게 바로 EA 겠지만

 

회사 규모가 커지면 사업부서가 늘어나고, 이것 저것 확장하면서 여러개의 EA가 생길 것이다.

 

즉, 다시말해 

 

전사라는 개념은 하나의 시스템일수도,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 시스템일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초기에 '전사 아키텍처'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시작해야 헷갈리지 않을 것이다.

 

 

 

아키텍처 3요소

1. 모델 : 비즈니스 모델

2. 규칙 : 일관성을 위해

3. 계획 : 현재 → 목표 아키텍처로 나아가기 위해

(사람은 아키텍처 요소가 아님)

 

EA 프레임워크 3요소

1. 정책 : 아키텍처 정책은, 이상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

2. 정보 : 어떤 관점(시스템 담당자, 기획자 등등)에서 도메인 4요소(비즈니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기술)를 바라보는 것. 

3. 관리 : 현재 아키텍처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

 

도메인 4요소

1. BA 비즈니스 관점 : 기업의 경영목표

2. AA 어플리케이션 관점 : 업무 관련 어플리케이션 체계화

3. DA 데이터 관점 : 데이터 구조를 체계화

4. TA 기술 관점 : 기술 인프라를 체계화

 

참조모델 6요소

1. 성과 참조모델

2. 업무 참조모델

3. 서비스 참조모델

4. 데이터 참조모델

5. 기술 참조모델

 

참조모델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봐야겠다;;

 

 

마지막이다.

 

전사 아키텍처 프로세스

 

1. 비전 수립

나아가야할 방향성 정하기 위해 환경분석이 필요하다. EA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만든다.

아래처럼 의사결정유형(관점)과 정보유형(뷰) 두 축을 기준으로 2차원 매트릭스를 만든다.

  업무 데이터 응용 기술
계획자 조직구성도/정의서
업무구성도/정의서
데이터구성도/정의서 응용시스템구성도/정의서 표준프로파일
기반구조 구성도/정의서
기술지원목록
책임자 업무관계도/기술서
업무기능 분할도/기술서
개념데이터 관계도
데이터 교환 기술서
응용시스템 관계도
응용기능 분할도
기반 구조 관계도
설계자 업무절차 설계서 논리데이터 설계서
데이터 교환 설계서
응용 기능 설계서 기반 구조 설계서
개발자 업무매뉴얼 물리데이터 모델 응용프로그램 목록 제품목록

 

2. 구축 : 

자료 수집 → 현행 아키텍처 정보구축 → 목표 아키텍처 정보구축

 

3. 관리 : 

도입한 다음에 얼마나 잘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관리 조직 / 관리 프로세스 / 관리 인력을 포함한다.

 

4. 활용 :

구축된 전사 아키텍처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고 IT자원관리가 이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사 아키텍처 활용을 활성화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남은 화수목금 화이팅.

 

반응형
반응형

목적:
회사에서 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예정인데, 업무상 도움이 될거 같아 준비하게 되었음

준비물:
책 2권 구매


비용:
응시료 5만원


자격증 개요


문항수

50개

목차

과목1. 전사아키텍처 (10문항)
전사, 아키텍처 각각 뭔지 개념만 알면 된다
분량 몇페이지 안됨. 몇번 읽고 문제풀기

과목2. 데이터 요건분석 (10문항)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지? 그럼 어떻게 수집하지?를 배운다
표가 많아서 암기양은 적음. 2-3번 훑어보기

과목3. 데이터표준화 (10문항)
데이터를 일단 모았다면? 팀/부서별로 단어, 코드, 기준 등 다르게 사용하지 않도록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

과목4. 데이터 모델링(20문항)
대망의 모델링 파트! SQLD 랑 유사한거 같은데
개논물( 개념모델링/논리적 모델링/ 물리적 모델링)에 대해 배운다


과락 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50문제 중 30개는 맞아야지)

과목별 40점 이상 과락개수
1~3과목 4/10개 아래로, 4과목 8/20개 아래로 틀리면 과락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