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월요일, 퇴근후 자격증 공부를 합니다.
과목1. 전사 아키텍처에 대해 공부할 예정
시작 전, 나의 목표는?
적은 시간 투자해서 최대 효율을 내자.
그러기 위해서는 키워드 위주로 빠르게 1회독을 한다!
전사?
회사 전체? 인 것 같다. 영어로는 Enterprise
아키텍처?
구조, 아마도 시스템 구조, 데이터 구조 등등을 의미하겠지. 영어로는 Architecture
오늘의 공부 끝...!!!! 이면 좋겠지만 아직 한참 남았다.
여기서 부터는 키워드 위주로 빠르게 스캔합니다.
전사 아키텍처란, 기업의 정보화 관련 설계도를 뜻한다. 약자로 EA
사실 스타트업이야 하나의 사업이 곧 회사 전체시스템이고 그게 바로 EA 겠지만
회사 규모가 커지면 사업부서가 늘어나고, 이것 저것 확장하면서 여러개의 EA가 생길 것이다.
즉, 다시말해
전사라는 개념은 하나의 시스템일수도,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 시스템일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초기에 '전사 아키텍처'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시작해야 헷갈리지 않을 것이다.
아키텍처 3요소
1. 모델 : 비즈니스 모델
2. 규칙 : 일관성을 위해
3. 계획 : 현재 → 목표 아키텍처로 나아가기 위해
(사람은 아키텍처 요소가 아님)
EA 프레임워크 3요소
1. 정책 : 아키텍처 정책은, 이상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
2. 정보 : 어떤 관점(시스템 담당자, 기획자 등등)에서 도메인 4요소(비즈니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기술)를 바라보는 것.
3. 관리 : 현재 아키텍처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
도메인 4요소
1. BA 비즈니스 관점 : 기업의 경영목표
2. AA 어플리케이션 관점 : 업무 관련 어플리케이션 체계화
3. DA 데이터 관점 : 데이터 구조를 체계화
4. TA 기술 관점 : 기술 인프라를 체계화
참조모델 6요소
1. 성과 참조모델
2. 업무 참조모델
3. 서비스 참조모델
4. 데이터 참조모델
5. 기술 참조모델
참조모델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봐야겠다;;
마지막이다.
전사 아키텍처 프로세스
1. 비전 수립
나아가야할 방향성 정하기 위해 환경분석이 필요하다. EA정보를 정의하기 위해,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만든다.
아래처럼 의사결정유형(관점)과 정보유형(뷰) 두 축을 기준으로 2차원 매트릭스를 만든다.
|
업무 |
데이터 |
응용 |
기술 |
계획자 |
조직구성도/정의서 업무구성도/정의서 |
데이터구성도/정의서 |
응용시스템구성도/정의서 |
표준프로파일 기반구조 구성도/정의서 기술지원목록 |
책임자 |
업무관계도/기술서 업무기능 분할도/기술서 |
개념데이터 관계도 데이터 교환 기술서 |
응용시스템 관계도 응용기능 분할도 |
기반 구조 관계도 |
설계자 |
업무절차 설계서 |
논리데이터 설계서 데이터 교환 설계서 |
응용 기능 설계서 |
기반 구조 설계서 |
개발자 |
업무매뉴얼 |
물리데이터 모델 |
응용프로그램 목록 |
제품목록 |
2. 구축 :
자료 수집 → 현행 아키텍처 정보구축 → 목표 아키텍처 정보구축
3. 관리 :
도입한 다음에 얼마나 잘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관리 조직 / 관리 프로세스 / 관리 인력을 포함한다.
4. 활용 :
구축된 전사 아키텍처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고 IT자원관리가 이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사 아키텍처 활용을 활성화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남은 화수목금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