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소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었을 때, 저장소에 반영하는 방법은 git add -> git commit 과정이 필요하다.
(1)git add
working directory(작업영역)에 있던 파일이 staging area(준비영역)로 이동하는 과정
(2)git commit
staging area(준비영역)에 있던 파일이 repository(저장소)로 이동하는 과정
-m 옵션으로 커밋 메시지를 이용해 반영한 내용에 대해 메모할 수 있다. (-m "메시지 내용")
* git status 명령어
$ gitstatus: staging area의 어떤 파일이 변경되었는지 등의 파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amend 커밋메시지 수정 명령어
$ git commit --amend
텍스트 편집기가 실행되는데, 수정하고 싶은 부분을 수정 후 저장하면 된다.
* git log커밋 로그 확인 명령어
$ gitlog
# git저장소를 만들어 줍니다.
git init
# main.py파일을 준비영역에 추가
git add main.py
# main.py가 준비영역에 잘 추가되었는지 확인
git status
# 준비영역에 추가된 파일을 커밋
git commit -m "커밋"
# 커밋한 기록
git log
* 프로젝트별로 사용자정보를 다르게 하고자 한다면 --global 옵션 제거하고 실행한다.
5. 설정정보 확인
$ git config --list
Git 저장소 생성하기
git init
기존의 디렉토리를 git repository로 설정한다.".git"디렉토리가 생성되며 저장소 생성이 완료된다.
# 현재 디렉토리에 이름이 `project1`인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project1
# `mydir` 디렉토리 안에 이름이 `hello`인 저장소 만들기
cd mydir
git init hello
# `mydir/world` 디렉토리를 저장소로 만들기
cd world
git init